반응형 전체 글147 소프트웨어 버전 표기 방법 보통 점(.)으로 구분되는 형식(예: X.Y.Z)이 사용됩니다.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이 방식을 따르며, 이를 통해 업데이트의 규모와 변경 사항의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일부 경우 버전에 **콤마(,)**가 추가되는 형식도 볼 수 있습니다. 1. 점(.)으로 구분된 버전 (Semantic Versioning)일반적으로 세 가지 숫자가 사용됩니다: X.Y.ZX (Major Version)주요 업데이트로 큰 기능 변화나 호환성에 영향을 미칠 때 증가합니다.이전 버전과의 호환이 깨질 수 있습니다.예: Tesseract 4.x → 5.x (OCR 엔진 성능과 모델 구조의 큰 변화)Y (Minor Version)새로운 기능 추가나 성능 개선이 있을 때 증가합니다.기존 버전과의 호환성은 유지됩니다.예: Tessera.. 2024. 11. 20. MutationObserver를 활용한 변화 감지 이미지 리스트의 변화를 감지하고 새로 추가된 이미지를 포함한 리스트를 다시 출력하려면 JavaScript의 MutationObserver 또는 리스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리스트 갱신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 중 상황에 맞는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방법 1: MutationObserver를 활용한 변화 감지HTML 요소 내에서 이미지 리스트가 동적으로 추가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observer.observe()에서 childList: true 옵션으로 자식 요소(이미지)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마다 MutationObserver가 트리거됩니다.addImage() 함수를 통해 이미지가 추가되면 MutationObserver가 감지하고 업데이트된 리스트를 출력합니다. // 이미지 리스트 .. 2024. 11. 15. 클래스 초기화하는 방법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 viewerInit(); iframeViewer.init(); const thumbnail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mv-thumbnail"); const firstIframeViewer = new IframeViewer(thumbnailList) window.firstIframeViewer = firstIframeViewer IframeViewer.thumbnails = document.querySelectorAll("mv-thumbnail"); }); class IFrameUti.. 2024. 10. 29. 웹 컨테이너란? 도커와 쿠버네티스는 대체 뭐야? 웹 컨테이너, 도커, 쿠버네티스 컨테이너를 도입해야 한다. 쿠버네티스로 전환해야 한다. 라는 말을 흔히 많이 듣는다. 그렇다면 컨테이너란 무엇일까?컨테이너 = 서버컨테이너는 서버의 한 종류이다. 서버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간단하게 컴퓨너랑 비슷한 개념이다.회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운영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개발자가 개발을 해서 작업의 결과물이고 개발자는 자신의 PC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소스코드를 임시 소프트웨어로 만들어서 자신의 PC에서 실행하고 테스트 과정을 거친다. 결과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는 고객에게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자의 PC가 아닌 인터넷 어딘가에 실행이 되어야한다. 즉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는 개발자 개인 PC.. 2024. 9. 28. 이전 1 2 3 4 5 6 7 ··· 3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