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IL4 서블릿, 멀티 쓰레드 HTML Form 데이터를 전송할 때웹 브라우저가 요청 메소드를 만들어서 서버에게 데이터를 보낸다. 이렇게 했을 때, 만약에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직접 다 구현해야 한다면?우선, http message를 처음부터 끝까지 쭉 풀어 헤쳐야 한다. 기본적으로 TCP/IP로 연결 대기, 소켓을 연결한다. 단순 텍스트인 요청 http 메세지를 하나씩 다 자르고 파싱해서 읽게 된다. 그다음 post방식인지, save URL인지 확인하고 Content-Type을 확인한다. http 메세지 바디 내용을 파싱하고 저장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비즈니스 로직이 실행된다.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요청한다. .....저장 프로세스 실행 후 저장이 잘 됐는지 http응답 메세지 생성을 시작한다. 그 후 TCP/IP에 응.. 2025. 1. 19. TIL - 스택 First In Last Out (FILO) -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나중에 나오는 규칙 스택은 아주 단순한 규칙을 가진 리스트이다. 설거지를 하고 접시를 쌓고 있다. 가장 먼저 세제를 묻힌 접시는 가장 아래 쌓이고 제일 나중에 세제를 묻힌 접시는 가장 맨 위에 올려진다. 이제 세척을 하자. 쌓인 접시를 사용할 때는 위에 있는 접시 먼저 꺼낸다. 이렇게 먼저 들어온 게 나중에 쓰이는 데이터 구조를 스택이라고 부른다. 일상생활에서도 자료구조를 많이 볼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상황에서 먼저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먼저 들어가고 늦게 도착한 사람은 문 앞에 서게 된다. 내릴 때는 반대이다. 늦게 도착한 사람이 먼저 내리고 가장 먼저 기다린 사람은 제일 늦게 내린다. 스택은 먼저 들어온 게 나중에 나오는.. 2025. 1. 7. TIL - 배열과 연결리스트 배열자바스크립트는 전형적인 배열과 다른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배열의 특징을 먼저 알아보자.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배열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의 이해를 위해서는 배열이 메모리에서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배열을 선언할 때 배열의 크기를 알려준다. int arr[10] = {1,2,3,4,5}이렇게 배열을 선언했다면 운영체제는 메모리에서 숫자 10개가 들어갈 수 있는 연속된 빈 공간을 찾아서 순서대로 1,2,3,4,5를 할당한다. 할당하지 않는 부분은 의미없는 쓰레기 값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운영체제는 배열의 시작 주소, 즉 숫자 1이 들어간 주소만 기억한다. 프로그래머가 배열의 세번째 원소에 접근하고 싶다면 arr[2] 이런식으로.. 2025. 1. 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란? 공식을 증명하면서 깊이 생각하면서 하면 굳이 외우지 않아도 증명하면서 다른문제에 대해서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 생긴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도 마찬가지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특징만 외우는 것이 아닌, 연결리스트를 완벽히 이해하고 있으면 머릿속으로 한번 그려보면 특징을 혼자 찾을 수 있다. 각각의 잘구조와 알고리즘의 특성을 머리로 그려가며 이해하는것이 필요함.구현을 하게되면 머리로 이해하는 것보다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직접 그림을 그려가며 상황을 만들고 천천히 이해하기에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 다시 머릿속으로 그 과정을 떠올리면 특징을 금방 찾을 수 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비즈니스로직보다 난이도가 높다. 어려워도 포기 하지 말자!! 프로그램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다.. 2024. 12. 2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